/Galaxies-Classification-By-Using-Deep-Learning

This repository is about galaxies classification by using deep learning from Dafit

Primary LanguageJupyter Notebook

Galaxies-Classification-By-Using-Deep-Learning


1. 서론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은 합성곱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풀링 계층(pooling layer), 그리고 완전연결 계층(fully-connected layer)로 구성되어 특히 이미지데이터처럼 가까운 데이터끼리 서로 연관성이 높을 때 좋은 성능을 내는 모델이다. 그 구조의 예는 아래와 같다.

MLP에서 사용하는 완전연결 계층은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기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의 형상이 무시된다는 것이 그것인데, 가로, 세로, 채널(색상)로 구성된 3차원 데이터인 이미지를 평평한 1차원 데이터로 평탄화해주기 때문이다. 그 다음 모든 뉴런과 연결되어 각각의 weight와 bias를 가지고 연산하기 때문에 형상을 무시하고 모든 입력 데이터를 동등한 뉴런(같은 차원의 뉴런)으로 취급한다.

하지만 이미지는 분명 3차원 형상이며, 따라서 공간적 정보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서로 인접한 픽셀끼리는 유사한 값을 가지고 있다던지, 반대로 서로 거리가 먼 픽셀끼리는 큰 관련성이 없다던지, RGB채널 각각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등 수많은 공간적 정보가 존재한다. 따라서 완전연결 계층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해주는 방법이 CNN이다.

Convolution Layer는 합성곱 계층과 풀링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합성곱 계층은 채널별로 filter를 가지고 있는데, 이 filter를 이용해 feature map과 합성곱을 통해 output을 도출하고 backpropagation을 통해 filter의 weight들을 학습시킨다. 이 filter는 n by n의 정사각형 형태이기 때문에 합성곱을 할 때 주위 인접한 데이터들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공간적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풀링 계층은 가로, 세로 방향의 공간을 줄이는 연산으로써 feature map의 중요한 정보는 최대한 보존한 채 output을 도출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CNN을 직접 구상해봄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를 모델에 학습 및 평가해보고 직면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해나가는 것을 중점으로 한다.

2. 프로젝트

이번에 수행한 프로젝트는 '딥러닝으로 은하 분류하기'이다. 이는 데이터사이언스 데이터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질문식 가이드를 제공해주는 사이트인 DAFIT에 게시되어있는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 관련 설명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볼 수 있다.

3. 연구

여기를 참조하세요

4. 결과

model accuracy
Tutorial Model 76.50%
Pratice Model 1 86.88%
Pratice Model 2 85.62%
Pratice Model 3 85.00%
Pratice Model 4 87.29%
Pratice Model 5 84.79%
VGG16 Model 1 32.29%
VGG16 Model 2 32.29%

5. 고찰

지난번 MLP모델에 이어 이번에는 처음으로 CNN 모델을 구축해보았다. 결과적으로 Tutorial에서 제공한 모델(76.50%)보다 직접 설계한 모델(Pratice Model 4: 87.29%)을 통해 10.79% 정도 성능을 향상시켰다. 앞으로 더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해두겠다.

이미지 업로드 및 학습 시간의 문제
Vision 분야를 공부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했다. AWS나 Local GPU를 사용하지 않고 Google Colab을 통해 모델을 학습하던 방식에 한계가 온 것이다. Colab을 사용하기 위해 Image를 Google Drive에 업로드시켜야 하는데 그 시간이 대략 3시간 정도 걸렸고, 모델 하나를 구성해서 ImageDataGenerator를 통해 학습하는 데 또한 마찬가지로 굉장히 긴 시간이 걸렸다. 만약 VIsion 분야를 계속해서 공부할것이라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수적이다.

단순한 CNN 구조를 넘어서 기술적인 모델링 기법 습득 필요
지금까지 구성한 모델은 Conv2D, MaxPooling2D, GlobalAveragePooling2D, BatchNormalization, Dense, Dropout, Flatten 등의 단순한 CNN 구조의 조합으로 구성했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들로만 이용해서 고성능의 이미지 분류 모델을 구성하기엔 한계가 따르기 마련이다. 최근에 AI Innovation Square를 통해 DenseNet, GoogleNet, ResNet, U-Net, M-Net 등 Vision 분야에서 적용되는 많은 모델들과 그 기법들을 배우는 중인데, 이러한 기술적인 모델링 기법이 필요함을 느꼈다. 또한 이러한 기법을 잘 사용하려면 그 기법이 사용된 모델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Vision 분야에서 대표적인 모델들, 그리고 최신 모델들에 관한 논문을 읽고 이해하며, 구현할 필요성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