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ool_SafetyAccident_competition

제2회 학교안전사고 데이터 분석 및 활용 경진대회

Primary LanguageJupyter Notebook

🏫모두가 안전한 학교 : 현황 분석과 안전 교육 개선🏫

데이터 분석 목적

  • 2021년 대비, 2023년에 학교 안전사고 발생 건수가 약 199% 증가했고

  • 2021년 대비 2022년에 학생들의 응급실 내원 건수가 약 159% 증가했다

    ➡️ 학교안전사고 현황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 필요하다고 판단 !

다중회귀분석

  • 지역 별 안전사고건수와 학생 수가 다른 반면 전국적으로 51시간의 안전 교육 시간은 전국적으로 동일한 것을 확인했다
  • 교원 1인당 안전교육 부담이 사고 건수가 많은 지역이 적은 지역에 비해 더 많을 것 이라 가설을 세운 뒤 분석 실시했다

  • 7세에서 21세의 학생수와 사고건수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또한, 교원 1인당 안전교육 부담이 클수록 사고 건수가 증가한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활용 방안

분석 결과에 따라 두 가지 주요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1️⃣ 안전 교육 개선 안전 교육을 양적 혹은 질적으로 개선시키는 2가지 방향 제안한다.

  • 교육 시간 증가시키기(양적)

    지역별 사고 건수는 서울과 경기가 전체 사고 건수의 80%를 차지하고 있었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2배 이상 더 많은 사고가 발생했다. 따라서, 서울, 경기지역 및 남학생이 밀집되어 있는 학교에 교육 시간 증가시킨다.

  • 맞춤형 안전 교육 실시(질적)

    각 학교급 별로 많이 다치는 부위가 상이하기 때문에 학교급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안전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교육을 실시한다.

2️⃣ 추가 인력 배치

사고 발생 시간대별 빈도 그래프 시각화 결과, 모든 학교급에서 오전 시간대에 사고가 많이 발생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오전 시간대에 추가 교사를 배정하도록 한다. 추가 교사는 교육대학교, 사범대학교, 체육대학교 학생들로 구성하여 봉사 시간을 부여하거나 실습 시간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배치하여 미래의 교사에게 사고 예방 교육의 중요성을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시보드

아래와 같이 총 3가지 대시보드를 제작했다.

default.mp4

공모전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