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etch2pokemon

pix2pix

Primary LanguageJupyter Notebook

Pix2Pix를 이용한 포켓몬 자동 채색 서비스

Run on Ainize

진행 상황

  • 2021-03-28 : 프로젝트 시작
  • 2021-03-28 ~ 2021-03-29 : 첫 번째 모델 학습 및 결과 확인
  • 2021-03-29 ~ 2021-03-30 : 두 번째 모델 학습 및 결과 확인
  • 2021-03-30 ~ 2021-04-01 : 모델 서비스화 진행 중
  • 2021-04-02 : Ainize로 서비스 배포
  • 2021-04-13 : Anime Sketch Colorization Pair Dataset 이용하여 추가 학습
  • 2021-04-14 : 추가 학습 시켜보았으나 이전 모델과 다르지 않아 새로운 방법 탐색
  • 2021-04-15 : 프로젝트 종료

기존에 AIFFEL 노드에서 학습했던 방법으로 잘 학습이 되지 않아서 tensorflow 공식 튜토리얼을 보고 다시 따라하였다.

Dataset

result

기존과의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이미지를 Normalize 해주는 시점이 조금 다르다는 것이다. 아마 이 부분에서 문제가 생겨서 위와 같은 이미지가 학습된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데이터를 다룰 때에는 항상 Normalize, Denormalize에 신경써야 하는 것 같다. 어떤 Activation Function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Normalize 범위를 [-1, 1]로 할지, [0, 1]로 할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번에 사용된 모델에서는 tanh를 Activation Function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1, 1]의 범위에서 Normalize 해주었다.

우선 1000 epoch 정도를 학습시켜보았다.

  • 400 epoch 정도 부터 큰 변화가 없는걸로 보아 local minima에 빠졌거나 학습이 종료된 것 같다.
  • 750 epoch 의 checkpoint를 불러와서 기울기를 1/10으로 줄여서 50 epoch 정도 더 학습을 시켜보았으나 큰 변화는 없는 것 같다.
  • 750 epoch 의 checkpoint를 불러와서 기울기를 10배로 늘려서 50 epoch 정도 더 학습을 시켰더니 오히려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학습이 진행되었다.

결과

  • 1000 epoch
  • Discriminator Loss

images00

  • Generator Loss

images01

두 Loss를 비교해봤을 때, disc_loss는 감소하고 gen_loss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generator가 discriminator를 속이기 위한 이미지를 잘 생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train과 test에 없는 전혀 새로운 이미지를 입력했을 때, 다음과 같이 잘 생성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여줬다.

images02

학습 과정을 시각화해보면 다음과 같다.

result_ver2

기존에 있는 이미지는 원본이랑 비슷한 정도로 생성하는 것으로 보아 train set에 overfitting 된 것 같다. 추가로 다른 데이터셋을 더 활용하거나, 모델의 구조를 바꾸어서 다시 학습시켜봐야겠다.'

사용한 모델 링크

어려웠던 점

  • 프론트엔드/백엔드 지식이 전혀 없어서 HTML부터 공부해서 페이지를 제작함
  • Inference 결과 tensor object로 반환되어 해당 object를 바로 웹에서 rendering 가능한 방법을 찾다가 결국 이미지로 저장하여 rendering 하는 방식으로 진행
  • 페이지는 정상적으로 만들어졌는데 계속해서 기존의 이미지를 가져옴 -> 브라우저 쿠키 문제
  • model의 크기가 100MB가 넘어가서 git lfs를 이용하여 git에 업로드 하였으나 Ainize에서 불러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 heroku에서 배포를 시도하였으나 메모리 용량 부족(500MB)으로 배포 실패
  • 기본 git lfs 용량을 모두 사용하여 wget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한 무료 웹서버를 찾아보았지만 당장 쓸 수 있는 게 없어서 개인 웹서버 이용하여 모델 다운로드 후 Ainize로 배포

수정해야 할 것

  • input 이미지 크기 조절 (2021-04-02 수정)

느낀점

  • 모델을 만들어서 학습시키고 실행 가능한 python 파일로 정리하는 것 까진 어렵지 않았는데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 단순 텍스트 데이터가 아닌 이미지 데이터를 웹에서 띄우는 방법을 몰라 html을 공부해서 겨우 띄울 수 있게 되었는데 브라우저 캐시 때문에 정상작동 하는 걸 오작동으로 인식하여 다른 방법을 찾았다.
  • 결국 프론트엔드를 공부하고 있는 sunhpark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js로 웹페이지를 좀 더 깔끔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 로컬에서 테스트 할 땐 잘 되었는데 막상 배포하려고 하니 적절한 서비스가 없었다. 우선 git에 모델 용량이 100MB를 초과해서 git lfs를 이용하여 Ainize로 배포를 시도하였으나 디버깅 하다가 git lfs 무료 사용량을 전부 사용하여 다른 서비스를 찾아보았다.
  • heroku로 배포를 시도했을 땐 메모리 용량 부족으로 실패하였다.
  • 마지막 남은 EC2는 1년만 무료여서 최후의 보루로 남겨두고 Ainize로 배포해보기 위하여 무료 파일 서버 서비스를 찾아보았지만 마땅한 게 없어서 결국 임시로 웹서버를 만들어서 Ainize에서 Dockerfile을 빌드할 때 모델을 받아올 수 있도록 하였고, 결국 성공하였다.

2021-04-14

Anime Sketch Colorization Pair Dataset을 이용하여 추가로 학습을 진행하고 있는데 메모리 문제로 Batch size를 1로 해서 돌렸더니 약 14000장을 한 epoch 처리하는데 10~15분 정도가 걸리는 거 같다. 기존처럼 많이는 못해볼 거 같고 우선 100epoch 정도만 먼저 학습을 시켜봐야겠다.

추가로 100 epoch을 학습시켜 보았으나, 이전의 포켓몬 데이터보다 인물과 같이 특정 형태를 가지는 데이터라 그런지 피부와 같은 부분은 정상적으로 칠해졌다. 그러나 여전히 부족한 성능이라고 느꼈다.

모델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던 도중, Pix2Pix 모델의 한계가 있어서 이 부분을 개선한 Auto-Painter에 관한 논문을 찾았다. 해당 논문에서는 내가 생각한 정도의 성능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서 해당 모델을 다시 구현해봐야겠다.

2021-04-15

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다가 loss function에 대해 generator의 loss를 왜 discriminator 결과와 비교하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 들어서 generator의 loss를 생성된 이미지와 실제 이미지 사이의 Binary Cross Entropy로 바꿔주었더니 오히려 이미지가 더 잘 생성되는 것으로 보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result_test

compared_image

PatchGAN을 이용한 Discriminator의 결과에서 실제 이미지를 1, Generator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0으로 두고 비교하는 것이 과연 맞는 것일까? Discriminator 100%의 정확도로 실제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그럴 수 있겠지만 아직 학습되지 않은 Discriminator의 결과를 1과 0을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웹페이지 제작에 도움을 준 사람 : sunh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