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예제 - 음식배달

본 예제는 MSA/DDD/Event Storming/EDA 를 포괄하는 분석/설계/구현/운영 전단계를 커버하도록 구성한 예제입니다. 이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요구되는 체크포인트들을 통과하기 위한 예시 답안을 포함합니다.

Table of contents

서비스 시나리오

배달의 민족 커버하기 - https://1sung.tistory.com/106

기능적 요구사항

  1. 고객이 메뉴를 선택하여 주문한다
  2. 고객이 결제한다
  3. 주문이 되면 주문 내역이 입점상점주인에게 전달된다
  4. 상점주인이 확인하여 요리해서 배달 출발한다
  5. 고객이 주문을 취소할 수 있다
  6. 주문이 취소되면 배달이 취소된다
  7. 고객이 주문상태를 중간중간 조회한다
  8. 주문상태가 바뀔 때 마다 카톡으로 알림을 보낸다

비기능적 요구사항

  1. 트랜잭션
    1. 결제가 되지 않은 주문건은 아예 거래가 성립되지 않아야 한다 Sync 호출
  2. 장애격리
    1. 상점관리 기능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주문은 365일 24시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Async (event-driven), Eventual Consistency
    2. 결제시스템이 과중되면 사용자를 잠시동안 받지 않고 결제를 잠시후에 하도록 유도한다 Circuit breaker, fallback
  3. 성능
    1. 고객이 자주 상점관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배달상태를 주문시스템(프론트엔드)에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CQRS
    2. 배달상태가 바뀔때마다 카톡 등으로 알림을 줄 수 있어야 한다 Event driven

체크포인트

  • 분석 설계

    • 이벤트스토밍:

      • 스티커 색상별 객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여 헥사고날 아키텍처와의 연계 설계에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가?
      • 각 도메인 이벤트가 의미있는 수준으로 정의되었는가?
      • 어그리게잇: Command와 Event 들을 ACID 트랜잭션 단위의 Aggregate 로 제대로 묶었는가?
      • 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누락 없이 반영하였는가?
    • 서브 도메인, 바운디드 컨텍스트 분리

      • 팀별 KPI 와 관심사, 상이한 배포주기 등에 따른  Sub-domain 이나 Bounded Context 를 적절히 분리하였고 그 분리 기준의 합리성이 충분히 설명되는가?
        • 적어도 3개 이상 서비스 분리
      • 폴리글랏 설계: 각 마이크로 서비스들의 구현 목표와 기능 특성에 따른 각자의 기술 Stack 과 저장소 구조를 다양하게 채택하여 설계하였는가?
      • 서비스 시나리오 중 ACID 트랜잭션이 크리티컬한 Use 케이스에 대하여 무리하게 서비스가 과다하게 조밀히 분리되지 않았는가?
    • 컨텍스트 매핑 / 이벤트 드리븐 아키텍처

      • 업무 중요성과  도메인간 서열을 구분할 수 있는가? (Core, Supporting, General Domain)
      • Request-Response 방식과 이벤트 드리븐 방식을 구분하여 설계할 수 있는가?
      • 장애격리: 서포팅 서비스를 제거 하여도 기존 서비스에 영향이 없도록 설계하였는가?
      • 신규 서비스를 추가 하였을때 기존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영향이 없도록 설계(열려있는 아키택처)할 수 있는가?
      • 이벤트와 폴리시를 연결하기 위한 Correlation-key 연결을 제대로 설계하였는가?
    • 헥사고날 아키텍처

      • 설계 결과에 따른 헥사고날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을 제대로 그렸는가?
  • 구현

    • [DDD] 분석단계에서의 스티커별 색상과 헥사고날 아키텍처에 따라 구현체가 매핑되게 개발되었는가?

      • Entity Pattern 과 Repository Pattern 을 적용하여 JPA 를 통하여 데이터 접근 어댑터를 개발하였는가
      • [헥사고날 아키텍처] REST Inbound adaptor 이외에 gRPC 등의 Inbound Adaptor 를 추가함에 있어서 도메인 모델의 손상을 주지 않고 새로운 프로토콜에 기존 구현체를 적응시킬 수 있는가?
      • 분석단계에서의 유비쿼터스 랭귀지 (업무현장에서 쓰는 용어) 를 사용하여 소스코드가 서술되었는가?
    • Request-Response 방식의 서비스 중심 아키텍처 구현

      • 마이크로 서비스간 Request-Response 호출에 있어 대상 서비스를 어떠한 방식으로 찾아서 호출 하였는가? (Service Discovery, REST, FeignClient)
      • 서킷브레이커를 통하여  장애를 격리시킬 수 있는가?
    • 이벤트 드리븐 아키텍처의 구현

      • 카프카를 이용하여 PubSub 으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연동되었는가?
      • Correlation-key: 각 이벤트 건 (메시지)가 어떠한 폴리시를 처리할때 어떤 건에 연결된 처리건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Correlation-key 연결을 제대로 구현 하였는가?
      • Message Consumer 마이크로서비스가 장애상황에서 수신받지 못했던 기존 이벤트들을 다시 수신받아 처리하는가?
      • Scaling-out: Message Consumer 마이크로서비스의 Replica 를 추가했을때 중복없이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는가
      • CQRS: Materialized View 를 구현하여, 타 마이크로서비스의 데이터 원본에 접근없이(Composite 서비스나 조인SQL 등 없이) 도 내 서비스의 화면 구성과 잦은 조회가 가능한가?
    • 폴리글랏 플로그래밍

      • 각 마이크로 서비스들이 하나이상의 각자의 기술 Stack 으로 구성되었는가?
      • 각 마이크로 서비스들이 각자의 저장소 구조를 자율적으로 채택하고 각자의 저장소 유형 (RDB, NoSQL, File System 등)을 선택하여 구현하였는가?
    • API 게이트웨이

      • API GW를 통하여 마이크로 서비스들의 집입점을 통일할 수 있는가?
      • 게이트웨이와 인증서버(OAuth), JWT 토큰 인증을 통하여 마이크로서비스들을 보호할 수 있는가?
  • 운영

    • SLA 준수
      • 셀프힐링: Liveness Probe 를 통하여 어떠한 서비스의 health 상태가 지속적으로 저하됨에 따라 어떠한 임계치에서 pod 가 재생되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가?
      • 서킷브레이커, 레이트리밋 등을 통한 장애격리와 성능효율을 높힐 수 있는가?
      • 오토스케일러 (HPA) 를 설정하여 확장적 운영이 가능한가?
      • 모니터링, 앨럿팅:
    • 무정지 운영 CI/CD (10)
      • Readiness Probe 의 설정과 Rolling update을 통하여 신규 버전이 완전히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일때 신규버전의 서비스로 전환됨을 siege 등으로 증명
      • Contract Test : 자동화된 경계 테스트를 통하여 구현 오류나 API 계약위반를 미리 차단 가능한가?

분석/설계

AS-IS 조직 (Horizontally-Aligned)

image

TO-BE 조직 (Vertically-Aligned)

image

Event Storming 결과

이벤트 도출

image

부적격 이벤트 탈락

image

- 과정중 도출된 잘못된 도메인 이벤트들을 걸러내는 작업을 수행함
    - 주문시>메뉴카테고리선택됨, 주문시>메뉴검색됨 :  UI 의 이벤트이지, 업무적인 의미의 이벤트가 아니라서 제외

액터, 커맨드 부착하여 읽기 좋게

image

어그리게잇으로 묶기

image

- app의 Order, store 의 주문처리, 결제의 결제이력은 그와 연결된 command 와 event 들에 의하여 트랜잭션이 유지되어야 하는 단위로 그들 끼리 묶어줌

바운디드 컨텍스트로 묶기

image

- 도메인 서열 분리 
    - Core Domain:  app(front), store : 없어서는 안될 핵심 서비스이며, 연견 Up-time SLA 수준을 99.999% 목표, 배포주기는 app 의 경우 1주일 1회 미만, store 의 경우 1개월 1회 미만
    - Supporting Domain:   marketing, customer : 경쟁력을 내기위한 서비스이며, SLA 수준은 연간 60% 이상 uptime 목표, 배포주기는 각 팀의 자율이나 표준 스프린트 주기가 1주일 이므로 1주일 1회 이상을 기준으로 함.
    - General Domain:   pay : 결제서비스로 3rd Party 외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경쟁력이 높음 (핑크색으로 이후 전환할 예정)

폴리시 부착 (괄호는 수행주체, 폴리시 부착을 둘째단계에서 해놔도 상관 없음. 전체 연계가 초기에 드러남)

image

폴리시의 이동과 컨텍스트 매핑 (점선은 Pub/Sub, 실선은 Req/Resp)

image

완성된 1차 모형

image

- View Model 추가

1차 완성본에 대한 기능적/비기능적 요구사항을 커버하는지 검증

image

- 고객이 메뉴를 선택하여 주문한다 (ok)
- 고객이 결제한다 (ok)
- 주문이 되면 주문 내역이 입점상점주인에게 전달된다 (ok)
- 상점주인이 확인하여 요리해서 배달 출발한다 (ok)

image - 고객이 주문을 취소할 수 있다 (ok) - 주문이 취소되면 배달이 취소된다 (ok) - 고객이 주문상태를 중간중간 조회한다 (View-green sticker 의 추가로 ok) - 주문상태가 바뀔 때 마다 카톡으로 알림을 보낸다 (?)

모델 수정

image

- 수정된 모델은 모든 요구사항을 커버함.

비기능 요구사항에 대한 검증

image

- 마이크로 서비스를 넘나드는 시나리오에 대한 트랜잭션 처리
    - 고객 주문시 결제처리:  결제가 완료되지 않은 주문은 절대 받지 않는다는 경영자의 오랜 신념(?) 에 따라, ACID 트랜잭션 적용. 주문와료시 결제처리에 대해서는 Request-Response 방식 처리
    - 결제 완료시 점주연결 및 배송처리:  App(front) 에서 Store 마이크로서비스로 주문요청이 전달되는 과정에 있어서 Store 마이크로 서비스가 별도의 배포주기를 가지기 때문에 Eventual Consistency 방식으로 트랜잭션 처리함.
    - 나머지 모든 inter-microservice 트랜잭션: 주문상태, 배달상태 등 모든 이벤트에 대해 카톡을 처리하는 등, 데이터 일관성의 시점이 크리티컬하지 않은 모든 경우가 대부분이라 판단, Eventual Consistency 를 기본으로 채택함.

헥사고날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도출

image

- Chris Richardson, MSA Patterns 참고하여 Inbound adaptor와 Outbound adaptor를 구분함
- 호출관계에서 PubSub 과 Req/Resp 를 구분함
- 서브 도메인과 바운디드 컨텍스트의 분리:  각 팀의 KPI 별로 아래와 같이 관심 구현 스토리를 나눠가짐

구현:

분석/설계 단계에서 도출된 헥사고날 아키텍처에 따라, 각 BC별로 대변되는 마이크로 서비스들을 스프링부트와 파이선으로 구현하였다. 구현한 각 서비스를 로컬에서 실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각자의 포트넘버는 8081 ~ 808n 이다)

cd app
mvn spring-boot:run

cd pay
mvn spring-boot:run 

cd store
mvn spring-boot:run  

cd customer
python policy-handler.py 

DDD 의 적용

  • 각 서비스내에 도출된 핵심 Aggregate Root 객체를 Entity 로 선언하였다: (예시는 pay 마이크로 서비스). 이때 가능한 현업에서 사용하는 언어 (유비쿼터스 랭귀지)를 그대로 사용하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일부 구현에 있어서 영문이 아닌 경우는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계속 사용할 방법은 아닌것 같다. (Maven pom.xml, Kafka의 topic id, FeignClient 의 서비스 id 등은 한글로 식별자를 사용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ackage fooddelivery;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BeanUtils;
import java.util.List;

@Entity
@Table(name="결제이력_table")
public class 결제이력 {

    @Id
    @GeneratedValue(strategy=GenerationType.AUTO)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orderId;
    private Double 금액;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OrderId() {
        return orderId;
    }

    public void setOrderId(String orderId) {
        this.orderId = orderId;
    }
    public Double get금액() {
        return 금액;
    }

    public void set금액(Double 금액) {
        this.금액 = 금액;
    }

}

  • Entity Pattern 과 Repository Pattern 을 적용하여 JPA 를 통하여 다양한 데이터소스 유형 (RDB or NoSQL) 에 대한 별도의 처리가 없도록 데이터 접근 어댑터를 자동 생성하기 위하여 Spring Data REST 의 RestRepository 를 적용하였다
package fooddelivery;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PagingAndSortingRepository;

public interface 결제이력Repository extends PagingAndSortingRepository<결제이력, Long>{
}
  • 적용 후 REST API 의 테스트
# app 서비스의 주문처리
http localhost:8081/orders item="통닭"

# store 서비스의 배달처리
http localhost:8083/주문처리s orderId=1

# 주문 상태 확인
http localhost:8081/orders/1

폴리글랏 퍼시스턴스

앱프런트 (app) 는 서비스 특성상 많은 사용자의 유입과 상품 정보의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해야 하는 특징으로 인해 RDB 보다는 Document DB / NoSQL 계열의 데이터베이스인 Mongo DB 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order 의 선언에는 @Entity 가 아닌 @Document 로 마킹되었으며, 별다른 작업없이 기존의 Entity Pattern 과 Repository Pattern 적용과 데이터베이스 제품의 설정 (application.yml) 만으로 MongoDB 에 부착시켰다

# Order.java

package fooddelivery;

@Document
public class Order {

    private String id; // mongo db 적용시엔 id 는 고정값으로 key가 자동 발급되는 필드기 때문에 @Id 나 @GeneratedValue 를 주지 않아도 된다.
    private String item;
    private Integer 수량;

}


# 주문Repository.java
package fooddelivery;

public interface 주문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Order, UUID>{
}

# application.yml

  data:
    mongodb:
      host: mongodb.default.svc.cluster.local
    database: mongo-example

폴리글랏 프로그래밍

고객관리 서비스(customer)의 시나리오인 주문상태, 배달상태 변경에 따라 고객에게 카톡메시지 보내는 기능의 구현 파트는 해당 팀이 python 을 이용하여 구현하기로 하였다. 해당 파이썬 구현체는 각 이벤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Kafka consumer 로 구현되었고 코드는 다음과 같다:

from flask import Flask
from redis import Redis, RedisError
from kafka import KafkaConsumer
import os
import socket


# To consume latest messages and auto-commit offsets
consumer = KafkaConsumer('fooddelivery',
                         group_id='',
                         bootstrap_servers=['localhost:9092'])
for message in consumer:
    print ("%s:%d:%d: key=%s value=%s" % (message.topic, message.partition,
                                          message.offset, message.key,
                                          message.value))

    # 카톡호출 API

파이선 애플리케이션을 컴파일하고 실행하기 위한 도커파일은 아래와 같다 (운영단계에서 할일인가? 아니다 여기 까지가 개발자가 할일이다. Immutable Image):

FROM python:2.7-slim
WORKDIR /app
ADD . /app
RUN pip install --trusted-host pypi.python.org -r requirements.txt
ENV NAME World
EXPOSE 8090
CMD ["python", "policy-handler.py"]

동기식 호출 과 Fallback 처리

분석단계에서의 조건 중 하나로 주문(app)->결제(pay) 간의 호출은 동기식 일관성을 유지하는 트랜잭션으로 처리하기로 하였다. 호출 프로토콜은 이미 앞서 Rest Repository 에 의해 노출되어있는 REST 서비스를 FeignClient 를 이용하여 호출하도록 한다.

  • 결제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하여 Stub과 (FeignClient) 를 이용하여 Service 대행 인터페이스 (Proxy) 를 구현
# (app) 결제이력Service.java

package fooddelivery.external;

@FeignClient(name="pay", url="http://localhost:8082")//, fallback = 결제이력ServiceFallback.class)
public interface 결제이력Service {

    @RequestMapping(method= RequestMethod.POST, path="/결제이력s")
    public void 결제(@RequestBody 결제이력 pay);

}
  • 주문을 받은 직후(@PostPersist) 결제를 요청하도록 처리
# Order.java (Entity)

    @PostPersist
    public void onPostPersist(){

        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 pay = new 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
        pay.setOrderId(getOrderId());
        
        Application.applicationContext.getBean(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Service.class)
                .결제(pay);
    }
  • 동기식 호출에서는 호출 시간에 따른 타임 커플링이 발생하며, 결제 시스템이 장애가 나면 주문도 못받는다는 것을 확인:
# 결제 (pay) 서비스를 잠시 내려놓음 (ctrl+c)

#주문처리
http localhost:8081/orders item=통닭 storeId=1   #Fail
http localhost:8081/orders item=피자 storeId=2   #Fail

#결제서비스 재기동
cd 결제
mvn spring-boot:run

#주문처리
http localhost:8081/orders item=통닭 storeId=1   #Success
http localhost:8081/orders item=피자 storeId=2   #Success
  • 또한 과도한 요청시에 서비스 장애가 도미노 처럼 벌어질 수 있다. (서킷브레이커, 폴백 처리는 운영단계에서 설명한다.)

비동기식 호출 / 시간적 디커플링 / 장애격리 / 최종 (Eventual) 일관성 테스트

결제가 이루어진 후에 상점시스템으로 이를 알려주는 행위는 동기식이 아니라 비 동기식으로 처리하여 상점 시스템의 처리를 위하여 결제주문이 블로킹 되지 않아도록 처리한다.

  • 이를 위하여 결제이력에 기록을 남긴 후에 곧바로 결제승인이 되었다는 도메인 이벤트를 카프카로 송출한다(Publish)
package fooddelivery;

@Entity
@Table(name="결제이력_table")
public class 결제이력 {

 ...
    @PrePersist
    public void onPrePersist(){
        결제승인됨 결제승인됨 = new 결제승인됨();
        BeanUtils.copyProperties(this, 결제승인됨);
        결제승인됨.publish();
    }

}
  • 상점 서비스에서는 결제승인 이벤트에 대해서 이를 수신하여 자신의 정책을 처리하도록 PolicyHandler 를 구현한다:
package fooddelivery;

...

@Service
public class PolicyHandler{

    @StreamListener(KafkaProcessor.INPUT)
    public void whenever결제승인됨_주문정보받음(@Payload 결제승인됨 결제승인됨){

        if(결제승인됨.isMe()){
            System.out.println("##### listener 주문정보받음 : " + 결제승인됨.toJson());
            // 주문 정보를 받았으니, 요리를 슬슬 시작해야지..
            
        }
    }

}

실제 구현을 하자면, 카톡 등으로 점주는 노티를 받고, 요리를 마친후, 주문 상태를 UI에 입력할테니, 우선 주문정보를 DB에 받아놓은 후, 이후 처리는 해당 Aggregate 내에서 하면 되겠다.:

  @Autowired 주문관리Repository 주문관리Repository;
  
  @StreamListener(KafkaProcessor.INPUT)
  public void whenever결제승인됨_주문정보받음(@Payload 결제승인됨 결제승인됨){

      if(결제승인됨.isMe()){
          카톡전송(" 주문이 왔어요! : " + 결제승인됨.toString(), 주문.getStoreId());

          주문관리 주문 = new 주문관리();
          주문.setId(결제승인됨.getOrderId());
          주문관리Repository.save(주문);
      }
  }

상점 시스템은 주문/결제와 완전히 분리되어있으며, 이벤트 수신에 따라 처리되기 때문에, 상점시스템이 유지보수로 인해 잠시 내려간 상태라도 주문을 받는데 문제가 없다:

# 상점 서비스 (store) 를 잠시 내려놓음 (ctrl+c)

#주문처리
http localhost:8081/orders item=통닭 storeId=1   #Success
http localhost:8081/orders item=피자 storeId=2   #Success

#주문상태 확인
http localhost:8080/orders     # 주문상태 안바뀜 확인

#상점 서비스 기동
cd 상점
mvn spring-boot:run

#주문상태 확인
http localhost:8080/orders     # 모든 주문의 상태가 "배송됨"으로 확인

운영

CI/CD 설정

각 구현체들은 각자의 source repository 에 구성되었고, 사용한 CI/CD 플랫폼은 GCP를 사용하였으며, pipeline build script 는 각 프로젝트 폴더 이하에 cloudbuild.yml 에 포함되었다.

동기식 호출 / 서킷 브레이킹 / 장애격리

  • 서킷 브레이킹 프레임워크의 선택: Spring FeignClient + Hystrix 옵션을 사용하여 구현함

시나리오는 단말앱(app)-->결제(pay) 시의 연결을 RESTful Request/Response 로 연동하여 구현이 되어있고, 결제 요청이 과도할 경우 CB 를 통하여 장애격리.

  • Hystrix 를 설정: 요청처리 쓰레드에서 처리시간이 610 밀리가 넘어서기 시작하여 어느정도 유지되면 CB 회로가 닫히도록 (요청을 빠르게 실패처리, 차단) 설정
# application.yml
feign:
  hystrix:
    enabled: true
    
hystrix:
  command:
    # 전역설정
    default:
      execution.isolation.thread.timeoutInMilliseconds: 610

  • 피호출 서비스(결제:pay) 의 임의 부하 처리 - 400 밀리에서 증감 220 밀리 정도 왔다갔다 하게
# (pay) 결제이력.java (Entity)

    @PrePersist
    public void onPrePersist(){  //결제이력을 저장한 후 적당한 시간 끌기

        ...
        
        try {
            Thread.currentThread().sleep((long) (400 + Math.random() * 22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부하테스터 siege 툴을 통한 서킷 브레이커 동작 확인:
  • 동시사용자 100명
  • 60초 동안 실시
$ siege -c100 -t60S -r10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ttp://localhost:8081/orders POST {"item": "chicken"}'

** SIEGE 4.0.5
** Preparing 100 concurrent users for battle.
The server is now under siege...

HTTP/1.1 201     0.68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68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70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70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73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75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77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97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81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87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12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1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17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2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25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 요청이 과도하여 CB를 동작함 요청을 차단

HTTP/1.1 500     1.29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1.24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1.23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1.42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2.08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2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1.24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 요청을 어느정도 돌려보내고나니, 기존에 밀린 일들이 처리되었고, 회로를 닫아 요청을 다시 받기 시작

HTTP/1.1 201     1.4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33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3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63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65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68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6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71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71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74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7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1.7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 다시 요청이 쌓이기 시작하여 건당 처리시간이 610 밀리를 살짝 넘기기 시작 => 회로 열기 => 요청 실패처리

HTTP/1.1 500     1.93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1.92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1.93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 생각보다 빨리 상태 호전됨 - (건당 (쓰레드당) 처리시간이 610 밀리 미만으로 회복) => 요청 수락

HTTP/1.1 201     2.24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32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1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1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1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1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21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2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30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38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5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61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62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2.64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01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27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33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45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52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57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6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70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6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 이후 이러한 패턴이 계속 반복되면서 시스템은 도미노 현상이나 자원 소모의 폭주 없이 잘 운영됨


HTTP/1.1 500     4.76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23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7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74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82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82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84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6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5.03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22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19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18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69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65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5.13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84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25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25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80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87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33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86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96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34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500     4.04 secs:     248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50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95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54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4.65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
:

Transactions:		        1025 hits
Availability:		       63.55 %
Elapsed time:		       59.78 secs
Data transferred:	        0.34 MB
Response time:		        5.60 secs
Transaction rate:	       17.15 trans/sec
Throughput:		        0.01 MB/sec
Concurrency:		       96.02
Successful transactions:        1025
Failed transactions:	         588
Longest transaction:	        9.20
Shortest transaction:	        0.00

  • 운영시스템은 죽지 않고 지속적으로 CB 에 의하여 적절히 회로가 열림과 닫힘이 벌어지면서 자원을 보호하고 있음을 보여줌. 하지만, 63.55% 가 성공하였고, 46%가 실패했다는 것은 고객 사용성에 있어 좋지 않기 때문에 Retry 설정과 동적 Scale out (replica의 자동적 추가,HPA) 을 통하여 시스템을 확장 해주는 후속처리가 필요.

  • Retry 의 설정 (istio)

  • Availability 가 높아진 것을 확인 (siege)

오토스케일 아웃

앞서 CB 는 시스템을 안정되게 운영할 수 있게 해줬지만 사용자의 요청을 100% 받아들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자동화된 확장 기능을 적용하고자 한다.

  • 결제서비스에 대한 replica 를 동적으로 늘려주도록 HPA 를 설정한다. 설정은 CPU 사용량이 15프로를 넘어서면 replica 를 10개까지 늘려준다:
kubectl autoscale deploy pay --min=1 --max=10 --cpu-percent=15
  • CB 에서 했던 방식대로 워크로드를 2분 동안 걸어준다.
siege -c100 -t120S -r10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ttp://localhost:8081/orders POST {"item": "chicken"}'
  • 오토스케일이 어떻게 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걸어둔다:
kubectl get deploy pay -w
  • 어느정도 시간이 흐른 후 (약 30초) 스케일 아웃이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AME    DESIRED   CURRENT   UP-TO-DATE   AVAILABLE   AGE
pay     1         1         1            1           17s
pay     1         2         1            1           45s
pay     1         4         1            1           1m
:
  • siege 의 로그를 보아도 전체적인 성공률이 높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Transactions:		        5078 hits
Availability:		       92.45 %
Elapsed time:		       120 secs
Data transferred:	        0.34 MB
Response time:		        5.60 secs
Transaction rate:	       17.15 trans/sec
Throughput:		        0.01 MB/sec
Concurrency:		       96.02

무정지 재배포

  • 먼저 무정지 재배포가 100% 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Autoscaler 이나 CB 설정을 제거함
  • seige 로 배포작업 직전에 워크로드를 모니터링 함.
siege -c100 -t120S -r10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ttp://localhost:8081/orders POST {"item": "chicken"}'

** SIEGE 4.0.5
** Preparing 100 concurrent users for battle.
The server is now under siege...

HTTP/1.1 201     0.68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68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70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HTTP/1.1 201     0.70 secs:     207 bytes ==> POST http://localhost:8081/orders
:

  • 새버전으로의 배포 시작
kubectl set image ...
  • seige 의 화면으로 넘어가서 Availability 가 100% 미만으로 떨어졌는지 확인
Transactions:		        3078 hits
Availability:		       70.45 %
Elapsed time:		       120 secs
Data transferred:	        0.34 MB
Response time:		        5.60 secs
Transaction rate:	       17.15 trans/sec
Throughput:		        0.01 MB/sec
Concurrency:		       96.02

배포기간중 Availability 가 평소 100%에서 70% 대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 원인은 쿠버네티스가 성급하게 새로 올려진 서비스를 READY 상태로 인식하여 서비스 유입을 진행한 것이기 때문. 이를 막기위해 Readiness Probe 를 설정함:

# deployment.yaml 의 readiness probe 의 설정:


kubectl apply -f kubernetes/deployment.yaml
  • 동일한 시나리오로 재배포 한 후 Availability 확인:
Transactions:		        3078 hits
Availability:		       100 %
Elapsed time:		       120 secs
Data transferred:	        0.34 MB
Response time:		        5.60 secs
Transaction rate:	       17.15 trans/sec
Throughput:		        0.01 MB/sec
Concurrency:		       96.02

배포기간 동안 Availability 가 변화없기 때문에 무정지 재배포가 성공한 것으로 확인됨.

신규 개발 조직의 추가

image

마케팅팀의 추가

- KPI: 신규 고객의 유입률 증대와 기존 고객의 충성도 향상
- 구현계획 마이크로 서비스: 기존 customer 마이크로 서비스를 인수하며, 고객에 음식 및 맛집 추천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

이벤트 스토밍

![image](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487999/79685356-2b729180-8273-11ea-9361-a434065f2249.png)

헥사고날 아키텍처 변화

image

구현

기존의 마이크로 서비스에 수정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Inbund 요청을 REST 가 아닌 Event 를 Subscribe 하는 방식으로 구현. 기존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하여 아키텍처나 기존 마이크로 서비스들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관계없이 추가됨.

운영과 Retirement

Request/Response 방식으로 구현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비스가 더이상 불필요해져도 Deployment 에서 제거되면 기존 마이크로 서비스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음.

  • [비교] 결제 (pay) 마이크로서비스의 경우 API 변화나 Retire 시에 app(주문) 마이크로 서비스의 변경을 초래함:

예) API 변화시

# Order.java (Entity)

    @PostPersist
    public void onPostPersist(){

        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 pay = new 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
        pay.setOrderId(getOrderId());
        
        Application.applicationContext.getBean(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Service.class)
                .결제(pay);

                --> 

        Application.applicationContext.getBean(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Service.class)
                .결제2(pay);

    }

예) Retire 시

# Order.java (Entity)

    @PostPersist
    public void onPostPersist(){

        /**
        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 pay = new 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
        pay.setOrderId(getOrderId());
        
        Application.applicationContext.getBean(fooddelivery.external.결제이력Service.class)
                .결제(pa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