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 야전 상황보고체계, ROK Situation Reporting System

Logo

Table of Contents

  1. 프로잭트 소개
  2. 기능 설명
  3. 컴퓨터 구성 / 필수 조건 안내 (Prerequisites)
  4. 기술 스택 (Technique Used)
  5. 설치 안내 (Installation Process)
  6. 팀 정보 (Team Information)
  7. 저작권 및 사용권 정보 (Copyleft / End User License)

📢프로젝트 소개

🚩문제점 제시

"7생활관 전원 코로나 걸렸데. 대대장님께 카톡으로 보고드려"
"오늘 훈련한 거 사진 찍어서 대대 단톡방에 올려"
"후임이 다쳤는데 군 전화도 주변에 없네… 어떻게 보고를 하지?"
"밥이 너무 맛이 없는데 건의를 어떻게 하지? 연대장님께 전화해볼까?" 

대대급 부대 내부에서 용사와 간부 또는 간부 대 간부 간 이용할 효율적고 안전한 보고체계가 없습니다.

  • 기존의 온나라 체계를 활용한다 하더라도 국방망에 접속이 불가능한 영외 간부에 대한 호출 및 긴급정비와 같은 상황일 경우, 전파에 어려움이 있어 전화/카카오톡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더불어 용사는 해당 체계 계정조차 생성할 수 없다는 것이 뚜렷한 한계점입니다.
  • 부대 내부의 정보는 아무리 사소하더라도 군사기밀입니다. 민간 상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은 사이버 보안에 위배되는 행위이고, 기밀 사항을 실수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며, 타사 애플리케이션이 해킹당하면 저장된 자료가 암호화되어있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또한, 사회공학으로 군사기밀이 유출될 위험도 있습니다.
  • 보안성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군에서 원칙적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보고체계를 준수하지 않고 보고하는 상황도 많이 발생합니다.
  • 이런 문제점들은 군대라는 조직에서 통제능력 상실과, 상황조치에 큰 차질을 초래할 것입니다.

💡 문제에 대한 해결책

  • 부대 내의 모든 전파사항은 암호문 비구별성 원칙(IND-CPA)에 따라 암호화되며 무결성과 기밀성을 보장합니다.

  • 케르크호프스의 원리에 따라서 키값이 노출되지 않는 한 보안성이 보장되어, 국군 보안사고를 원천 차단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부대에서 긴급상황을 보고체계에 맞추어 보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 보고받은 상황을 암호와 하여 정보를 보호하는 애플리케이션

국군 야전 상황보고체계 (ROK Situation Reporting System)은 위에 나열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것입니다. 상황이 상급 보고체계에 보고되기 전 각 부대 (여단, 대대, 독립중대) 지휘통제실에서 상황을 종합하고 지시사항을 하달하는 C4I 체계가 될 것입니다. Logo

  • 규정에 입각한 체계적인 보고체계를 준수하여 보고되어 상황조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메모보고 기능으로 보고체계를 따르는 상황 보고를 올릴 수 있다.
  • 채팅으로 긴급한 사항을 설명하고 추가 지시사항을 받을 수 있다.
  • 저장된 부대 메모보고, 보고체계는 부대장이 관리하고 개선할 수 있다.
  • 모든 보고사항은 암호와되며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한다.

💸 목표 시장

  1. 독립중대, 대대, 단, 연대단위 군부대.
  2. 군사경찰 부대.
  3. 사령부 내부 부서/처.
  4. 국정원, 경호원, 무기체계 개발팀 등 기밀 사항 연구 보직.

📖기능 설명

  • 설명 기입

💻컴퓨터 구성 / 필수 조건 안내

  • ECMAScript 6 지원 브라우저 사용
  • 권장: Google Chrome 버젼 77 이상

기술 스택 (Technique Used)

Web Frontend

React Next JS Ant-Design

Mobile Frontend

React Native Expo

Backend

NodeJS Express.js

Database

MongoDB Azure

Collaboration Tools

Notion Figma Insomnia

Encryption Scheme

Logo Name/Encryption Scheme Purpose
RSA 비대칭 암호와 (암호와된 키 값 전송)
Crypto.js 대칭 암호와 기능 (AES, HMAC)
Azure Keystore 비밀 키값 (Secret Key) 저장

설치 안내 (Installation Process)

$ git clone git주소
$ yarn or npm install
$ yarn start or npm run start

프로젝트 사용법 (Getting Started)

마크다운 문법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기재

팀 정보 (Team Information)

이름 역할 GitHub Contacts
김상영 팀장, 암호화 개발자
최윤성 프론트엔드(WEB) 개발자
김형민 프론트엔드(APP) 개발자
조영효 백엔드 개발자

저작권 및 사용권 정보 (Copyleft / End User License)

This project is licensed under the terms of the MIT license.